[아웃소싱타임스] 올해 1월 상용직 근로자 월평균 임금과 임시·일용직 근로자 간 임금격차가 276만원으로 벌어진 것으로 집계됐다.
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1월 사업체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용근로자 5명 이상 사업체의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433만7000원(세금공제전)으로 작년 동기의 374만7000원보다 15.8% 증가했다.
임시·일용직은 157만3000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(150만3000원)에 비해 4.7% 늘어나는 데 그쳤다. 이에 따라 작년 상용직과 임시·일용직 간 임금 차이는 276만4000원으로 작년 동기의 224만4000원 대비 무려 23.2% 상승하며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.
작년 11월 188만5000원, 12월 266만7000원 등으로 매월 근로자 간 임금 양극화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. 상용 5~300명 사업체의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48만5000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14.7%, 상용 300명 이상 사업체는 679만9000원으로 18.7% 각각 증가했다.
산업별 임금총액은 금융·보험업이 682만9000원으로 가장 많았고, 전기·가스·증기·수도사업이 651만7000원으로 뒤를 이었다.
임금이 가장 적은 산업은 숙박·음식점업(214만4000원)이었다. 사업시설관리·사업지원 서비스업(224만4000원) 근로자도 임금을 적게 받았다.
임금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산업은 제조업(20.3%)이었고 도매·소매업(20.0%), 금융·보험업(16.2%) 등 순이었다. 물가수준을 반영한 상용근로자 5명 이상 사업체의 1인당 월평균 실질임금은 402만원으로 400만원대를 처음으로 돌파했다.
전체 근로자의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66.2시간으로 작년동월(168.8시간)보다 1.5% 줄었다.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0.6시간으로 1.5%, 임시·일용근로자는 115.2시간으로 2.8% 각각 감소했다. 5~300명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66.6시간으로 1.6%, 상용 300명 이상 사업체는 164.1시간으로 1.5% 각각 줄어들었다.
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부동산업·임대업(183.9시간), 제조업(177.2시간) 순이었다. 반면 근로시간이 짧은 산업은 건설업(142.1시간)과 교육서비스업(148.9시간)이었다.
[출처 아웃소싱타임스]
'취업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용부, 화학물질 중독사고 예방을 위한 종합감독 실시 (0) | 2017.04.03 |
---|---|
서울에서 일하기 좋은 기업은 어디? (0) | 2017.03.31 |
벼룩시장구인구직 “회사 때려 치고 싶은 직장인… 이직해도 만족도는 글쎄” (0) | 2017.03.31 |
잡코리아, ‘직장인 10명중 6명 직장텃세 겪어’ 조사 발표 (0) | 2017.03.31 |
유로펜-펜 인터내셔널 40개국 대표단·대학생·청소년 예비 기업가들 10월 서울에 모인다 (0) | 2017.03.31 |